-
반응형
💡 서론
요즘 뉴스에서 “브릭스 확대”, “탈달러화”, “비서구 블록의 부상”이라는 말이 자주 나옵니다.
그 중심에는 바로 **‘브릭스(BRICS)’**라는 단어가 있죠.브릭스는 단순한 국가 모임이 아닙니다.
미국 중심의 경제 질서에 도전장을 내민 신흥 세력이죠.
이번 글에서는 브릭스란 무엇인지, 왜 세계무역에 영향을 주는지, 그리고 우리에게 어떤 의미인지
쉽고 핵심만 콕 집어서 설명해드릴게요.
🌍 브릭스(BRICS)란?
브라질(B), 러시아(R), 인도(I), 중국(C), 남아프리카공화국(S)
이 5개국이 모여 만든 신흥경제국 협력체예요.
초기에는 “경제 성장 잠재력이 높은 나라들”이라는 의미였지만,
지금은 정치적·외교적 연대로 확대되고 있어요.📌 최근엔 사우디아라비아, 이란, 이집트, 에티오피아, UAE, 아르헨티나 등도 합류 움직임을 보이며
브릭스+ (브릭스 플러스) 형태로 확장 중이에요.
💱 왜 세계무역의 ‘판’이 흔들릴까?
브릭스는 단순한 친목 모임이 아니에요.
그들은 이제 **"미국 중심의 달러 시스템에 의존하지 않겠다"**고 말하고 있어요.✅ 1. 탈달러화(dedollarization) 움직임
- 석유 거래를 달러 대신 위안화·루블화 등 자국 통화로
- 무역 결제 통화 다변화 시도
- 자체 결제 시스템(SWIFT 대안) 구축 논의
→ 달러 패권에 균열이 생기면,
전 세계 무역의 흐름이 근본적으로 바뀔 수 있어요.
✅ 2. 에너지와 자원, 물류의 중심 이동
- 러시아 + 중동 국가들 → 원유, 가스 중심 축
- 중국 + 인도 → 제조업과 내수
- 아프리카 + 남미 → 자원·인구 중심지
📌 브릭스 국가끼리 무역·물류·에너지 거래를 자국끼리 해결하려는 흐름은
세계화가 **“양극화된 블록형 무역”**으로 변해가고 있음을 뜻해요.
✅ 3. 국제기구 대항마 등장 가능성
- 세계은행(World Bank), IMF → 미국 주도
- 브릭스는 여기에 대응해 ‘뉴개발은행(NDB)’, 자체 기금 설립
→ 금융, 개발원조, 긴급지원 등을 미국 없이도 가능하게 하려는 움직임이에요.
💥 우리에게 무슨 영향이 있을까?
🇰🇷 한국은?
- 미국과의 동맹 유지 중
- 하지만 브릭스 무역 블록이 커질수록
한국은 양쪽 사이에서 전략적 선택을 해야 할 가능성도 커져요
🛢️ 경제적 영향
- 달러 중심 질서 약화 → 환율 변동성 증가 가능성
- 글로벌 공급망 재편 → 수출입 루트 변화
- 석유, 원자재 거래 변화 → 물가 변동 요인 증가
🔍 정리 요약
항목변화 내용브릭스의 본질 신흥국 연합 → 비서구 중심 질서 도전 핵심 움직임 탈달러화, 자국 통화 결제, 독립 금융 시스템 무역 구조 서방 주도 → 블록 중심 분화 가능성 한국 영향 수출 전략, 외교 방향, 물가 안정에 간접 영향
💬 한 마디로 말하면?
“브릭스는 단순한 모임이 아니라,
세계 경제의 ‘두 번째 중심’을 만들고 있는 중입니다.”
반응형'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FOMC란? 시장이 멈추는 밤, 미국 경제회의가 중요한 이유 (1) 2025.06.27 중국 GDP 발표, 과연 믿어도 될까? 숫자 이면에 숨겨진 진짜 이야기 (0) 2025.06.26 미국 CPI·PPI란? 뉴스에서 자주 보지만 정확히 몰랐던 물가 지표의 핵심 정리 (1) 2025.06.26 비트코인 ETF 승인, 왜 전 세계 금융이 긴장할까? 초보자용 쉬운 해설 (0) 2025.06.25 원달러 환율이 오르면 내 삶은 어떻게 바뀔까? 뉴스보다 중요한 3가지 변화 (2) 2025.06.25 엔화 약세일 때 일본 여행 가야 하는 진짜 이유 5가지 (2) 2025.06.24 기준금리가 오르면 내 통장은 왜 얇아질까? 현실 지갑에 미치는 5가지 영향 (0) 2025.06.24 기준금리 오르면 왜 집값이 떨어질까? 뉴스에 자주 나오지만 잘 몰랐던 경제 원리 (0) 2025.06.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