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존을하고싶다.

생존을 하고싶은 블로그

  • 2025. 7. 5.

    by. KORRLA89

    반응형

    💡 서론

    2008년 9월, 미국 투자은행 리먼 브라더스의 파산
    단순한 기업의 몰락이 아니었습니다.
    그것은 세계 금융시장의 심장이 멈춰선 순간이었죠.

    “부동산 가격이 떨어졌다고 금융 시스템이 무너질 수 있어?”
    “도대체 왜 그 한 방이 그렇게 컸던 걸까?”

    이번 글에선

    • 위기의 뿌리였던 서브프라임 모기지
    • 리먼 브라더스 붕괴의 domino effect
    • 그 여파로 바뀐 세계 경제의 구조
      를 차근히 설명해볼게요.

    📌 배경: 끝없는 집값 상승의 환상

    2000년대 초반 미국은
    📈 금리가 낮고
    💵 대출이 쉬워지며
    🏡 집값이 끝없이 오를 거라는 믿음이 팽배했습니다.

    → 은행들은 **신용이 낮은 사람들(서브프라임)**에게도
    무리하게 **주택담보대출(모기지)**을 해줬어요.

    → 그리고 그 대출을 **채권처럼 쪼개서 파는 금융상품(CDO)**으로 만들어
    전 세계에 팔기 시작했습니다.


    💣 서브프라임 모기지의 붕괴

    집값 상승이 멈추고
    빚을 갚지 못하는 사람이 늘어남
    → CDO 가격 폭락
    전 세계 투자자들이 동시에 손실

    📌 하지만 문제는 거기서 끝이 아니었죠.

    이 부실 채권을 가장 많이 보유한 곳이 바로…
    리먼 브라더스
    였습니다.


    💥 2008년 9월 15일, 리먼 브라더스 파산

    • 당시 자산규모 약 6000억 달러
    • 미국 4위 투자은행
    • 갑작스러운 파산 신청은
      → 전 세계에 금융 불신을 퍼뜨림
      → 금융시장 ‘패닉’ 상태

    ✔ 그날은 ‘월가의 9.11 테러’로 불릴 만큼
    시장 전체가 충격에 빠졌습니다.


    🔥 연쇄 반응: 글로벌 금융기관 붕괴 위기

    여파내용
    🏦 은행 간 신뢰 상실 서로 돈 빌려주지 않음 → 자금 경색
    📉 증시 폭락 전 세계 증시 급락, 수천조 손실
    🏢 대기업 줄도산 GM·AIG 등까지 파산 직전 위기
    🧊 소비·투자 위축 기업들 투자 중단, 소비 심리 얼어붙음
     

    ✅ 위기를 막기 위한 미국의 조치

    대응내용
    양적완화(QE) 중앙은행이 돈 찍어내 채권 매입 → 유동성 공급
    금리 인하 기준금리 0% 수준까지 인하
    구제금융(TARP) 정부가 은행·보험사에 긴급 자본 투입
    도산 방지 AIG, GM 등 ‘Too Big to Fail’ 기업 지원
     

    🌍 세계 경제에 미친 영향

    • 유럽까지 금융위기 확산 → 그리스·스페인 등 부채 위기
    • 글로벌 경기 침체
    • 실물경제까지 악화: 무역 축소, 실업 증가
    • 선진국 중심으로 초저금리 시대 개막

    🧠 왜 이 위기는 이렇게까지 커졌을까?

    1. 복잡한 파생상품 구조
      • CDO, CDS 등 누구도 정확히 위험을 파악하지 못함
    2. 규제 부족
      • 그림자 금융(비은행권)의 리스크 방치
    3. 레버리지 과다
      • 빚을 빚으로 돌리는 구조 → 하나만 무너지면 전부 도미노
    4. 정부 초기 대응 실패
      • 리먼을 그냥 파산시키면서 공포 확산

    📌 위기 이후의 변화

    변화내용
    금융 규제 강화 Dodd-Frank 법안 등 투자은행 규제
    중앙은행의 역할 확대 통화정책 + 금융시장 안정 기능 강조
    글로벌 통화 팽창 초저금리 + 유동성 과잉 → 이후 자산 버블 유발
    신뢰 회복 노력 투명성 강화, 회계기준 개선
     

    💬 한 마디로 말하면?

    “2008 금융위기는 금융 시스템이 복잡할수록
    그 붕괴도 빠르고, 전 세계가 함께 흔들린다는 걸 보여준 사건이었습니다.”


     

    반응형